노무현 대통령 배너

정태춘 / 나 살던 고향은 외

|



육만 엥이란다
후꾸오까에서 비행기 타고
 전세버스 부산 거쳐, 순천 거쳐
 섬진강 물 맑은 유곡 나루
아이스 박스 들고, 허리 차는 고무 장화 신고
은어 잡이 나온 일본 관광객들
삼박 사일 풀코스에 육만 엥이란다

초가 지붕 위로
피어오르는 아침 햇살
신선하게 터지는 박꽃 넝쿨 바라보며
리빠나 모노 데스네, 리빠나 모노 데스네
 (아, 훌륭하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 주) 개인적으로 생각하세요)

까스 불에 은어 소금구이
혓바닥 사리살살 굴리면서
신간센 왕복 기차값이면
조선 관광 다 끝난단다

육만 엥이란다

초가 지붕 위로
피어 오르는 아침 햇살
신선하게 터지는 박꽃 넝쿨 바라보며
리빠나 모노 데스네, 리빠나 모노 데스네
 (아, 훌륭하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 주) 개인적으로 생각하세요)

낚싯대 접고 고무 장화 벗고
순천의 특급 호텔 싸우나에 몸 풀면
긴 밤 내내 미끈한 풋가시내들
써비스 한 번 볼만한데..

환갑내기 일본 관광객들
칙사 대접받고, 그저 아이스 박스 가득가득
등살 푸른 섬진강 그 맑은 몸값이,
육만 엥이란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나니나니나

곽재구의 시 <유곡나루> 전문에 곡을 붙였으되,
마지막 부분 빨간색 글씨 부분은 정태춘이 첨가한 것이다

곽재구의 섬진강 사랑은 그의 역마살 팔자 중에서도 유별나다
그의 산문집 <내가 사랑한 세상 내가 사랑한 사람들>에서도 잘 나오지만
그 맑은 물살에 풋가시내 하얀종아리 같은 은어떼는
단순히 입맛 돋구는 생선의 이름만은 아니다

해방후 줄기차게 몸팔아 달러 벌고 엔화 벌어
아래위 고난한 것들을 먹여살린
애닮은 눈물방울의 이름이기도 한 것이다

그런데..
..이제 십 몇 년여가 흘러 잘사는 나라(?) 대한민국의 건아들은
똑같은 그 짓을 베트남으로, 필리핀으로,
태국으로 넘어가 하고 있다
오 필승 코리아~!!를 합창하며
3세계 어린 가시내들 가랭이에
태극기 꽃고 온단다..

정태춘이 자체 검열에서 삭제한 원 가사는 이렇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나니나니라~)가 아니라
좆돼 버렸네~~ 이게 맞다

끝부분 한번 따라 불러보면 바로 알수 있다~

...산골만 좆돼 버린게 아니라 사람들도 영 좆돼버린 것이다



 
 다음 정거장은 어디오
이 버스는 지금 어디로 가오
저 무너지는 교각들 하나 둘 건너
천박한 한 시대를 지나간다

-정태춘의 '건너간다' 중에서-


 
검열

뮤즈의 음울한 파수꾼, 내 오랜 박해자여!
오늘은 당신과 시비를 따져 볼까 하오
그러나 겁낼 건 없소 거짓 생각에 혹해서
검열제도를 무턱대고 욕할 생각은 없으니까
런던과 모스크바가 늘 같을 수는 없는 법
우리 나라의 작가들이 어떠한지 나는 아오
검열의 제재도 그들의 사상을 목 조르지 못하고
순결한 영혼은 당당하게 당신 앞에 나설 수 있소

푸쉬킨의 '검열관에게 보내는 서한' 중에서

이하의 글 중 '공륜'은 공연윤리심의 위원회를 의미한다
이하 공륜이라 약칭함


시인의 마을에 관한 자료의 출처:
http://windbird.pe.kr/

정태춘의 공륜과의 투쟁은 바로 이 <시인의 마을>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우선 이 노래는 첫 심의에서 <보류> 판정을 받습니다
그 이유는 이 노래가 신인 가수의 노래인데
이 노래의 가사가 신인이 쓴 것 같지는 않고
어떤 시를 베낀 것 같으므로
원작시의 확인을 위해 판정을 보류한다는 것이
이유였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느닷없이 결국 '대중가요' 가사로는
방황, 불건전한 요소가 짙어 부적절하다는 판정을 받습니다

정태춘은 할 수없이 개작을 시작합니다
그렇게 해서 나온 곡이 바로 78년 우리가 들었던
<시인의 마을>이었죠
이것은 정태춘이 원래 만들었던 노래와는 너무 거리가 있는
원작이 완전히 걸레가 되다시피 하며 바뀌어버린 작품이었습니다

김민기의 수많은 노래들, 양희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까지
금지 판정를 내리던 공륜이었으니 당연했겠죠
우리는 그 동안 이렇게 국민 정서 순화라는 미명 하에
원작자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곡을 듣고 좋아했던 것입니다

그 비근한 예가 바로 김민기의 <오, 주여, 이제는 여기에>죠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를 공연하면서 삽입되었던 이 노래는
공륜 심의를 거치며
<오, 주여, 이제는 그곳에>로 제목이 바뀌고
가사도
"얼어붙은 저 하늘...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이 가난의 거리"하는 가사가

"얼어붙은 저 하늘 ... 어두운 북녘 땅에 한 줄기 빛이 내리고"하는 식으로
바뀌어버렸으니까요

우리 가요가 다양성을 지니지 못하고
사랑 노래나 순수 자연에 대한 노래가 많았던 것도
다 그런 연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죠

78년에 발표된 노래 <시인의 마을>은
정태춘의 84년 음반 <떠나가는 배>에 원래 가사 대로 부른 곡으로
바뀌어 실립니다
물론 그 때도 공륜은 새파랗게 살아있었는데
어떻게 원래 가사 대로 실을 수가 있었냐구요?

그건 공륜 직원이 이미 발표돼서 유명한 곡이라
그냥 가사를 안 보고 실수로 통과시킨 착오였답니다

자, 그럼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 번 보십시오

보시면 조금이라도 저항적인 냄새나
사회의 어두운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 같으면
그대로 가위질을 해버린 공륜의 횡포를 느낄 수 있을 겁니다

(화살표 뒤가 공륜의 뜻대로 바꾼 것입니다)
그야말로 순수 지상주의의 노래로 바뀌어 버린 것이죠

시인의 마을
정태춘 작사 작곡 노래 (1977.9)

창문을 열고 내다봐요
저 높은 곳에 우뚝 걸린 깃발 펄럭이며 ---> (저 높은 곳에 푸른 하늘 구름 흘러가며)
당신의 텅빈 가슴으로 불어오는---> (부푼 가슴으로)
더운 열기의 세찬 바람 ---> (맑은 한 줄기 산들바람)
살며시 눈감고 들어봐요

먼 대지 위를 달리는 사나운 말처럼
당신의 고요한 가슴으로 닥쳐오는
숨가쁜 벗들의 말발굽 소리 ---> (숨가쁜 자연의 생명의 소리)
누가 내게 손수건 한 장 던져 주리오 ---> (따뜻한 사랑 건네 주리오)
내 작은 가슴에 얹어 주리오 ---> (내 작은 가슴 달래 주리오)
누가 내게 탈춤의 장단을 쳐주리오---> (생명의 장단)
그 장단에 춤추게 하리오
나는 고독의 친구 방황의 친구 상념 끊기지 않는 ---> (자연의 친구 생명의 친구)
번민의 시인이라도 좋겠소 -> (사색의 시인이라면 좋겠소)
나는 일몰의 고갯길을 넘어가는 고행의 방랑자처럼 -> (고행의 수도승처럼)
하늘에 비낀 노을 바라보며 시인의 마을에 밤이 오는 소릴 들을 테요
우산을 접고 비 맞아봐요 하늘은 더욱 가까운 곳으로 다가와서
당신의 그늘진 마음에 비 뿌리는 ---> (울적한 마음에)
젖은 대기의 애틋한 우수 누가 내게 다가와서 말 건네 주리오 내 작은 손 잡아 주리오
누가 내 운명의 길동무 되주리오 ---> (누가 내 마음의 위안 되주리오)
어린 시인의 벗 되주리오
나는 고독의 친구 방황의 친구 상념 끊기지 않는 ---> (자연의 친구 생명의 친구)
번민의 시인이라도 좋겠소 ---> (사색의 시인이라면 좋겠소)
나는 일몰의 고갯길을 넘어가는 고행의 방랑자처럼 ---> (고행의 수도승처럼)
하늘에 비낀 노을 바라보며
시인의 마을에 밤이 오는 소릴 들을 테요


시인의 마을 - 정태춘 (검열 전 원곡)


시인의 마을 - 정태춘 (검열 후)



돈만 벌어라 - '김민기의 공장의 불빛' 리메이크 앨범 중에서

 

개같이 벌으랬다, 돈만 벌어라
더러운 돈 좋아하네, 돈만 벌어라
새돈 헌돈 따로 있나, 돈만 벌어라
아무거나 시키세요, 돈만 벌어라
인정 찾고 양심 찾고
개소리를 허들 마라
정승처럼 쓰면 됐지
돈 벌어, 돈만 벌어, 돈

이 노래는 김민기의 노래굿 「공장의 불빛」에 나오는 깡패들의 노래로
강렬한 록 음악으로 당시의 세태를 질타하고 있다
「공장의 불빛」은 1978년 인천의 동일방직 노동조합 사건을
노래와 대사로 엮은 한국 최초의 노동 현장 뮤지컬인 셈인데
유신 시대의 검열과 통제를 피하기 위해
게릴라 작전처럼 하룻밤새 이화여대 방송반에서 몰래 녹음을 하였다고 한다

당시로선 최첨단 매체인 카세트로 2천개를 복사하여
후배에게 맡기고 김민기는 지하로 잠적했고
이 테이프는 손에서 손으로 알음알음으로 전국에 배포되었다
특히 뒷면은 공연할 때 활용하라고 반주만 녹음돼 있어
많은 노동 현장에서 이 테이프를 틀어놓고 공연을 했다고 한다

‘깡패’나 ‘용역’들만의 노래가 아니라 국민(?) 애창곡(?)

최근에는 ‘노래를 찾는 사람들’(노찾사)이
김민기의 노래들을 다시 부르는 기획 공연을 했는데
그중에서 가장 반응이 좋았던 것이 바로 ‘돈만 벌어라’였다
“대통령이 씨이오다/ 억울하면 출세하라/ 대한민국 주식회사/ 돈 벌어 돈만 벌어…”
가사를 요즘 세태에 맞추어
일부 바꾸어 부른 것이 관객들의 공감을 얻은 모양이다

1970년대 개발독재 시대의 노래가 생생하게 다가오는 것은
우리 사회가 여전히 ‘돈만 벌어라’의 주술에 갇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백주 대낮에 동일방직 여공들에게 똥물을 퍼붓던 ‘구사대’는
깔끔한 양복 차림의 ‘용역’으로 바뀌었지만
“새돈 헌돈 따로 있나 돈만 벌어라/ 아무거나 시키세요 돈만 벌어라/ 인정 찾고 양심 찾고/ 개소리를 허들 마라”는
그들의 주제가는
21세기 대한민국의 방방곡곡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이 노래는 이제 ‘깡패’나 ‘용역’들만 부르는 노래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부르는 애창곡이 되었다
물론 일부는 ‘노찾사’처럼 냉소적 반어법으로 부르지만
다수는 진정으로 감정이입이 되어 열창을 한다
“민주주의 짜증난다/ 돈만 벌어라”

그래서인지
▲ 제주 영리병원 허용 등 의료민영화정책 폐기 ▲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병원급식 금지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들어간 보건의료 노조에서 내건 “돈보다 생명”이라는 구호가 신선하게 와 닿는다
누구 말처럼 촛불이 바깥세상의 어둠을 밝히면서
우리 마음 속의 돈 욕심을 태우는 자성의 계기로 타오르기를 간절히 바란다

- 다산연구소 다산포럼 / 정 지 창(영남대 독문과 교수) 中 -

공장의 불빛 동영상




서울대 노래패인 메아리에서
노래 운동 15주년 기념으로 나온 노래책인 [메아리 10]
(1990년에 나온 것이니 상당히 오래된 비평이네요)에는 이 부분에 대해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의 초기의 작품들이 주로 포크송의 기반 위에서
관념적인 주제를 다루던 것과 비교해
후기의 작품들은 민요적인 어법 속에서 민중적 삶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형식과 내용의 통일을 보여 주고 있다
그의 1970년대 후반기의 변화 과정의 절정은
노래극 '공장의 불빛'에서 나타난다
이 작품은 그의 작품 중 가장 목적의식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이 작품에서 소재에 대한 이전의 은유적이고
추상적이었던 접근 방식이 아니라
'동일방직 사건'이라는 구체적인 소재로
노동자와 자본가간의 갈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날카로운 현실인식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음악적으로도 구전가요, 트위스트, 흑인 영가, 남도소리, 풍물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의 사용과 강렬한 악곡과
가사의 적절한 사용으로 극을 이끌어감으로써 극의 통일성을 이루어내고 있다
... 그러나, 이 작품 또한 그가 피할 수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현실에서의 발전적 전망의 부재에서 비롯하는
패배와 체념의 정서이다
이것은 극 속에서 갈등이 가장 고조되어야 할
싸움과 패배 부분의 침체와 결말에서의 막연한 이상에 대한
애틋한 소망으로 나타난다

'공장의 불빛'에서 그가 표현했던 노동자들의 현실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행동이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좌절

그리고 그것을 딛고 서고자 하는 막연한 소망은
비록 승리에 대한 확신은 주지 못했지만, 그러한 현실 하에 있던
모든 사람들에게 현실에 대한 뼈저린 인식을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그리고 김민기의 노래가 가지는 현실성의 획득이 주는 감동은
오늘날까지 그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며

그 의미 또한 오늘날까지 그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며
그 의미 또한
오늘날에 맞게 재해석될 여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새벽길

And